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 HOME

가나이엔지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원전 4.8GW 추가로 혼돈에 빠진 동해안 전력망

본문

한울 1·2호기 계속운전, 신한울 3·4호기 건설 시 동해안 전력망 포화↑

수소생산 법제도에 막혀…신규 송전망 건설 없인 발전제약 가속화 전망

309571_508890_5556.jpg

신한울 1·2호기 전경. 원전 계속운전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로 동해안 지역의 전력망 포화 문제가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사진=한수원


원전 계속운전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로 동해안 지역의 전력망 포화 문제가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원전 확대 정책으로 이 지역의 전력 생산량이 지속해서 증가할 텐데 현재 건설 중인 동해안~신가평 초고압직류송전(HVDC)으로는 송전선로의 용량이 한계에 다다를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당분간 발전제약 외에 뾰족한 수가 없어 좌초자산화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지난 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말부터 동해안 지역은 강릉안인화력 1·2호기(2.0GW), 신한울 1·2호기(2.8GW), 삼척화력 1·2호기(2.0GW)가 차례로 들어설 예정이다. 신한울 1호기와 강릉안인 1호기가 올해 준공을 앞둔 가운데 ▲강릉안인 2호기(2023년 3월) ▲삼척화력 1호기(2023년 10월) ▲신한울 2호기(2023년 11월) ▲삼척화력 2호기(2024년 4월) 순으로 전력공급 대열에 합류한다.


이처럼 신규 발전소 건설은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는데, 송전선로 용량은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동해안 지역의 송전가능 용량은 11.6GW로, 이 지역의 발전 용량(10.2GW)을 가까스로 수용하고 있다. 당장 1.4GW 규모의 신한울 1호기가 예정대로 올해 준공되면 현재 운영 중인 송전망만으로는 수도권에 전력을 실어 나를 여력이 없어지는 셈이다.


올해 들어 동해안과 신가평을 잇는 230km 길이의 HVDC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본격화되자 신한울 1·2호기 등이 상업 운전을 하더라도 송전선로 포화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준공 시 최대 8.0GW 규모의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할 수 있어 신한울 1·2호기 외에 신규 석탄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나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원전 계속운전과 신규원전이 담기는 게 확실시되며 동해안 지역은 또다시 송전선로 포화를 염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점이다. 동해안~신가평 HVDC가 건설될 때까지 당분간 신한울 1·2호기 등 신규 발전소의 발전제약이 불가피한 와중에 한울 1·2호기 계속운전과 신한울 3·4호기 건설로 꼬인 실타래를 풀기 어렵게 됐다.


한울 1·2호기(2.0GW)는 오는 2027년과 2028년, 신한울 3·4호기(2.8GW)는 2030년쯤에 전력공급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다. 동해안 지역에 총 4.8GW 규모의 발전설비가 대거 들어오게 된 것이다. 하지만 현재로선 동해안~신가평 HVDC 외에 추가적인 송전선로 보강 계획이 없다.


일각에선 한울 1·2호기와 신한울 3·4호기를 수소생산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수소생산 실증에 나선 미국 팔로베르데(Palo Verde) 원전 사례를 국내에도 도입하자는 것이다. 다만 실증에 앞서 전기사업법 개정 등이 필요해 현실적인 대안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사업법상 겸업금지의무 등 때문에 한수원이 원전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길은 봉쇄돼 있다"고 말했다.


결국 늘어난 원전만큼 신규 송전선로 건설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동해안 지역의 발전제약이 점차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기본 실무안 작업에 참여한 한 전문가는 "동해안~신가평 HVDC가 건설될 때까지는 부하에 따라 동해안 지역의 발전제약이 불가피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며 "여기에 한울 1·2호기, 신한울 3·4호기가 계통에 들어오면 발전제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명백한 만큼 반드시 신규 송전선로 건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전기신문(https://www.elec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