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 HOME

가나이엔지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유럽 "버틸 수 있다" vs 러시아 "당해봐라"…에너지 전면전

본문

G7, 러시아 원유 및 석유제품 가격상한제 합의

러, 보복으로 노드스트림1 공급중단 연장…"동참국가와 협조 안해"

유럽연합 "러시아 에너지 무기화, 대응 준비돼 있다"

OPEC+ 14개월만에 증산 끝내고 감산 발표, 돌발변수


308502_507777_323.jpg

지난 2018년 6월 24일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열린 OPEC+ 회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국방장관이 악수하고 있다.  제공=로이터, 연합뉴스


유럽과 러시아가 에너지 시장에서 전면전을 벌이고 있다. G7 회의에서 러시아 원유에 가격상한제를 적용한다고 발표하자 러시아는 즉각 독일로 연결된 가스관의 공급 중단을 연장하며 가격상한제에 동참하는 국가와는 협조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놨다. 여기에 러시아가 포함된 석유수출국 카르텔인 OPEC+가 원유 감산을 발표하면서 세계 에너지시장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변동성에 휩싸이게 됐다. 


6일 미국 및 유럽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의 국영 가스기업 가즈프롬은 독일로 연결된 가스관 노드스트림1의 공급 중단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앞서 가즈프롬은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부품 점검을 이유로 공급을 중단했다. 가즈프롬은 "정기 점검 중 가스 누출이 발견됐다. 가스관 손상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공급은 중단될 것"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서방 언론은 가즈프롬이 다른 이유를 들어 중단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예상했는데, 그대로 들어 맞은 것이다.


이 같은 가즈프롬의 행태는 G7 회의 결과에 따른 보복 조치로 해석된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2일 화상회의로 열린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G7 재무장관 회의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상한제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G7 재무장관은 공동발표에서 "가격상한제 시행을 위한 조처를 국가별로 긴급히 추진할 계획이며, 러시아산 원유 및 석유제품을 특정 가격 이하로 구매할 때만 해상운송 서비스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시행 시기는 유럽연합(EU)의 가격상한제를 포함한 6차 대러 제재 패키지에 맞출 예정으로 알려졌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실 대변인은 "가격상한제에 동참하는 국가와는 협조하지 않겠다"고 강한 엄포를 놨다. 


우리나라도 가격상한제에 동참할 예정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월 방한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가격상한제 동참 요청에 "한국도 가격상한제 도입 취지에 공감하고 동참할 용의가 있다. 가격상한제가 국제유가 및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설계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연합은 러시아의 에너지 보복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만반의 대비에 들어갔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과 핀란드 정부는 에너지 기업에 총 330억유로(약 44조원) 규모의 긴급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2008년 미국의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세계 금융위기처럼 에너지 기업의 파산이 전 세계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선제적 조치이다. 


미카 린틸라 핀란드 경제부 장관은 "에너지 부문에서 리먼브러더스 위기가 촉발될 수 있는 모든 요소가 갖춰졌다"고 경고했다. 


독일 정부는 3차 인플레이션 경감 패키지를 채택했다. 이 정책의 골자는 천문학적 수익을 벌어들인 에너지 기업에 횡재세를 부과해 650억유로(약 88조원) 예산을 서민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파올로 젠틸로니 유럽연합 집행위원은 3일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우리와 체결한 계약을 이행할 것으로 믿고 있지만 계속해서 에너지를 무기화한다면 우리도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며 강한 결의를 보였다.


가스인프라스트럭처유럽연합(GIE)에 따르면 4일 현재 유럽연합의 평균 가스재고율은 81.92%이다. 유럽연합은 10월 말까지 재고율 80%를 채우기로 목표를 세웠는데 그보다 두 달 앞서 달성했다. 


가스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안정되나 싶었던 석유시장에 갑자기 변수가 발생했다. 석유수출국 카르텔인 OPEC+가 원유 증산 정책을 끝내고 감산에 돌입한 것이다. 


OPEC+는 5일 화상으로 열린 월례회의에서 오는 10월의 생산량을 9월보다 하루당 10만배럴 줄이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2021년 8월부터 시작된 OPEC+의 증산 정책은 14개월 만에 끝나게 됐다. OPEC+ 기술분과위원회는 "증산 정책을 유지할 경우 올해 하루당 90만배럴 공급과잉이 발생하고, 생산 난항을 감안해도 40만배럴 과잉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OPEC+의 감산 발표로 유럽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배럴당 2.72달러 오른 95.74달러, 중동 두바이유는 0.64달러 오른 95.38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WTI유는 노동절로 휴장했다.  


이번 OPEC+ 발표가 관심을 모은 이유는 지난 6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원유 증산에 나서줄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담 직후 사우디 측은 "이번 회담에서 원유 증산 논의는 없었다"고 밝혀 바이든 대통령을 무안하게 했다. 


OPEC+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OPEC과 러시아가 이끄는 산유국의 카르텔이다. 매월 초반에 월례회의를 통해 다음달 생산량을 결정하고 있다. 


사우디는 미국의 강력한 동맹국이지만 실질적 권력자인 왕세자 모하마드 빈 살만(MBS) 국방장관이 사우디 국적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를 지시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는 예전 같지 않게 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사우디를 국제적 왕따로 만들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지난 6월 미국이 먼저 사우디에 화해 손길을 내밀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우디가 감산으로 응답하면서 양국의 사이는 더욱 멀어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출처 : 전기신문(https://www.elec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