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 HOME

가나이엔지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서해안 전력고속도로 건설 하자”

본문

“서해안 전력고속도로 건설 하자”

장길수 고려대 교수 “신재생 확대 위해선 DC그리드 건설 필요”

게시 : 2020년 10월 15일(목) 10:29


출처 : 여시재

정부 계획대로 신재생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확대하려면 전남과 전북에 신재생발전단지를 최대 가능 규모로 개발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력을 기존 전력망을 통하지 않고 수도권으로 바로 보내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력계통 전문가인 장길수 고려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는 최근 한 언론기고에서 “지금처럼 분산된 풍력과 태양광 발전설비를 개별적으로 기존 전력망에 접속할 경우 많은 지역에서 주민반발이 일어나 사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고 변동성이 큰 신재생에너지 접속으로 기존 AC전력망이 교란될 위험도 커진다”며 “기존 전력망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하나의 대형 송전선로를 설치해 여기에 대규모 신재생 발전단지들을 접속하는 것이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그 일환으로 서해안 풍력단지, 전남의 대규모 태양광발전단지, 새만금의 태양광과 풍력단지의 연계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전력수요 지역으로 송전하는 일종의 전력 고속도로인 ‘서해안 DC그리드’를 제안했다.


장 교수는 “DC그리드를 도입하면 개별 신재생발전기들 간의 변동성 차이가 상당 수준 완화되고 기존 AC전력망과는 비동기 연계되기 때문에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의 변동성에 따른 기존 전력계통에의 영향을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며 “현재 계획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근거로 최대 22GW까지의 신재생에너지는 7.41GW 용량의 서해안 HVDC 그리드로 접속이 가능해 신재생 발전설비의 고질적인 비효율성도 최소화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장 교수는 누가 이 사업을 진행할 것인지를 문제로 지적했다.


장 교수는 “현재로서는 법률상 발전사업자를 위한 접속설비를 한전이 부담할 수 없지만, 이미 신재생에너지로 인한 공용 전력망 등의 전력설비 보강비용을 한전이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 사업을 통해 숨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따라서 정부가 정책 전원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 인프라 구축의 책임이 있어 공적 기금을 통해 건설하거나 한전이 먼저 인프라를 구축하고 추후 접속되는 신재생 발전사업자들로부터 접속비용을 받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 교수는 또 신재생에너지원 접속 변전소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신재생에너지원은 154kV 이상의 송전망에 접속되는 대규모 발전단지와 배전망에 전용 또는 공용으로 접속되는 소규모 전원으로 구분된다. 문제는 최근 접속이 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원의 대부분이 배전망에 연결되는 소규모 전원들이어서 전력계통운영자가 발전출력의 예측이나 제어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이다.


장 교수는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변동성 재생에너지원이 많이 접속된 변전소에 전기를 저장하고 보낼 수 있는 발전소 기능을 추가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전력계통 운영자가 변전소에 발전기처럼 급전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급전가능한 신재생에너지원 접속 변전소 도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